NAS(Xpenology)

노트북으로 자체제작 NAS를 구성해보자 - (2) 설치

무링요짱짱맨 2019. 1. 22. 21:55
반응형

안녕하세요. 무링요짱짱맨입니다.

 이번시간은 노트북으로 NAS를 구성해보는 두번째 시간으로 직접 설치하는 것을 리뷰할 예정입니다.


먼저 설치 전 준비물은 


노트북으로 자체제작 NAS를 구성해보자 - (1) 준비 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주 차근차근 하나하나씩 보여드릴 예정이구요

자 이제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첫번째로 준비한 USB를 포맷을 합니다.



두번째는 이미지 파일 마운트 프로그램 : osfmount_64bit    을 설치를 한 후 실행을 합니다.




세번째로는 다운받은  부트로더(부트커널) : synoboot_3615 을 'Mount new...' 클릭 후 , 찾기를 통해서 열기를 합니다.



해당 팝업창이 나오실 건데 두번째 Partition 0 - 15.0 MB를 선택 후, OK를 눌러주시구요.



그러면 해당 내용처럼 세팅이 되실 것 입니다. 여기서 Read-only drive는 해제 , OK를 눌러줍니다.



그럼 현재 화면처럼 보이구요. 잘 Mount가 됬군요!! ( 내컴퓨터에서 확인 가능할 것 입니다)




그 다음은 USB 정보(ID) 확인 프로그램 : Vpidch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USB의 정보를 확인 합니다. 확인할 정보는 'VID' 와 'PID'가 되겠습니다.





그다음에 아까 Mount한 부트로더를 찾아서 D:\grub (드라이브는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에 들거가서 grub 파일을 워드패드 또는 Ultra Edit 등 기타편집도구프로그램으로 엽니다.

 그러면 해당 내용처럼 보이실 건데, 여기서 집중을 합시다.

(1) 먼저 아까 확인한 VID와 PID를 set vid와 set pid 위치에 입력 하고,

(2) mac1에 NAS가 될 노트북의 mac주소를 입력합니다.

(3) SataPortMap=1을 syno_hdd_powerup_seq=0 뒷 부분으로 이동 

(4) SataPortMap= 'NAS가 될 노트북의 하드디스크 개수'(기본은 1)를 수정해줍니다. 


이것까지 하시면 거의 다 한것과 마찬가지구요.




이제는 부트로더 이미지 기록 : Win32DiskImag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운트하여 변경시킨 부트로더(부트커널) : synoboot_3615  을 Read합니다. 그럼 부팅디스크(USB)를 완성한 것입니다.



다음은 해당 USB를 NAS가 될 노트북에 장착 시킨 후 부팅옵션을 가장 위로 설정해줍니다. (BIOS 설정)



그리고 재부팅 하면 해당화면이 보이실 것이구요.




이상태에서 다른 피시에서 'http://find.synology.com' 로 NAS가 될 노트북을 찾아봅니다. (참고로 NAS가 될 노트북은 LAN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 다른 피시는 NAS가 될 노트북과 같은 IP 대역대에 있어야 찾을 수 있습니다... 가장 헤멨던,,)



찾았군요. ^^ 안녕. 연결버튼을 눌러줍니다.




동의 후 확인.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서 DSM파일(설치 이미지) : DSM_DS3615xs_23739.pat 을 찾은 후 '지금설치' 버튼을 눌러줍니다.




모두 다 제거된다네요. 동의 후 확인!




이제 설치를 기다려 볼게요.




설치 후 재부팅 10분이 소요되구요.



그 후에 NAS가 된 노트북이 재부팅 된 후, 아까 NAS노트북의 IP주소로 브라우저를 통해서 들어가 보면 해당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ex : 192.168.1.11 ~~) 서버이름은 NAS서버의 이름이 되구요. 사용자이름은 최초 administrator가 되며, 이는 NAS 최종 구성 후, 사용자에서 추가/변경/삭제가 가능합니다.



기본 설정을 따라가도 되지만, 입맞대로 변경 후 다음버튼 !



QuickConnect는 Synology 정식제품에서만 가능하니, 제일 밑에 '이 단계 건너뛰기' 를 눌러줍니다.




이렇게 안쓰는 노트북에 NAS 설치완료 ! 


어떻게 보면 간단하기도 하지만 약간 복잡한 NAS 설치 내용이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기본적으로 설정해야하는 (보안 등을 위해) NAS 설정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