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Xpenology)

노트북으로 자체제작 NAS를 구성해보자 - (1) 준비

무링요짱짱맨 2019. 1. 17. 22:09
반응형

NAS(Network Attached Storage)란?



 NAS (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저장장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에 개인적으로 서버를 두고 사진 및 동영상을 저장을 하거나, 중소규모의 회사에서 손쉬운 자료공유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데요.  


간단하게 장점을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간편한 데이터 공유

NAS를 사용하기 전, 일반적으로 우리들은 Windows의 공유폴더기능 또는 파일서버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공유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PC를 지속적으로 켜 놓고 있거나, 이종간의 운영체제에 대해서는 제한이 있는 등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NAS는 구축만 해놓는다면 운영체제 상관없이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한 장점이 있습니다.


(2) 저장장치에 대한 휴대성

 대용량의 데이터를 가지고 다닐 경우, 우리는 USB 또는 외장하드를 이용해서 외부에 들고 다닙니다. 이는 훼손 또는 분실에 노출 되어 있고, 더욱이 일정이상의 용량에 제한을 받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NAS를 사용하게 되면 작게는 1TB 에서 많게는 수십TB 를 구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연결 및 속도만 안정적이다면 어떠한 외부환경에서도 데이터의 업로드/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다양한 쓰임새

 예전에는 NAS를 일종의 저장장치용도로만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그 용도로도 충분히 NAS의 쓰임새는 광범위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더욱이 기능이 다양해져서, 영상 스트리밍, 음악 스트리밍, 토렌트, 배치스케줄러, VPN서버, 채팅 서버, WEB/WAS서버 , VM 등의 용도로도 사용가능합니다. 특히 요즘은 NAS 기반이 Linux로 되어 있어, 이에 대한 커스터마이징도 편하며, 커스텀한 이미지들도 GIthub 등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4) NAS 브랜드 종류 

 NAS에는 다양한 브랜드 종류가 있는데요, 가장 일반적인 브랜드가 시놀로지(Synology) 제품입니다. 또다른 브랜드로는 큐냅(QNap), IPTIME 등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 브랜드 중에서 시놀로지의 DSM커널을 다른시스템에 사용하도록 컴파일 해놓은 놀로지(XPEnology)로 노트북으로 NAS를 만들 예정입니다. 

 헤놀로지는 시놀로지의 정식제품의 개인적으로 변형 및 컴파일을 한 것이기 때문에 엄연하게 말씀드리면 불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놀로지 본사에서 이때까지는 개인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어떠한 법적조치는 없었기 때문에, 향후에도 회사나 법인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안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물론 NAS를 구축하는 제일 편하고 안전한 방법은 NAS 장비를 직접 구입해서 설치하는 것 입니다. ^^






 오늘은 NAS 구축을 위한 장비들을 먼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구형 노트북


 사진에 보이는 것이 오늘 NAS로 구축 할 노트북입니다. 구형 노트북이구요. 사양은 굳이 말씀드리지는 않지만 중요한 것은 NAS에 필요한 스펙은 높지 않습니다. 집에서 안쓰는 노트북이나 넷북으로 구성하셔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2) USB


USB는 일반적인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용량도 크게 차지하지않기때문에, 집에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소용량의 USB를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3) 각종 설치프로그램 및 파일 등

 준비 및 설치프로그램과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트로더 이미지 기록 : Win32DiskImager   (구글 검색)


DSM파일(설치 이미지) : DSM_DS3615xs_23739.pat  

(https://archive.synology.com/download/DSM/release/6.2/23739/)


부트로더(부트커널) : synoboot_3615

(https://xpenology.com/forum/topic/7848-links-to-loaders)


USB 정보(ID) 확인 프로그램 : Vpidchk  (구글 검색)


이미지 파일 마운트 프로그램 : osfmount_64bit  (구글 검색)


이렇게 총 6개의 프로그램 및 파일을 준비를 해 놓으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이시간에는 본격적으로 설치 및 실행하는 내용을 포스팅 해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