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실습은 '도커/쿠버네티스를 활용한 컨테이너 개발 실전 입문(위키북스)' 를 공부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
일단 개념부터 잡아보자
[도커 이미지]
도커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파일 시스템과 실행할 에플리케이션 설정을 하나로 합친 것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템플릿 역할
[도커 컨테이너]
도커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파일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이 구체화 되어 실행되는 상태
비슷한 느낌이 클래스 <-> 인스턴스화된 객체간의 관계같은 !
먼저 도커 이미지를 다운받자
gihyodocker/ehco:latest라는 이미지를 받아올 것임
다음으로는 방금 다운받은 도커를 컨테이너의 명령어로 실행해볼 것이다.
docker container run 명령어 사용
docker container ls 로 확인 가능
docker container stop으로 해당 docker stop 처리
끝.
반응형
'Platform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실습3)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및 도커 이미지 만들어보기 (0) | 2022.03.07 |
---|---|
(도커실습1) Windows 10 or 11 에 Docker 을 설치해보자 (0) | 2022.03.06 |
도커를 활용해보자 - NAS에서 Docker 활용하기(SSH TELNET 접속) (0) | 2018.12.20 |